[58기 웰컴키트] 첫 직장을 구하는 변리사를 위한 팁

관리자,  2021년 10월 14일,  조회 884,   추천 27



관리자입니다. 58기를 위한 웰컴키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잡다한 물건을 주는 것 보다는, 정보를 담은 책자를 주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변리사를 위한 잡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200~300권 정도 인쇄해서 합격 직후에 신입 변리사분들께 전달 드리고, 이 사이트에도 내용을 올릴 예정입니다.

잡지에는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될 선배 변리사 5분의 인터뷰, 그리고 사무소/회사 정보가 들어갈 예정입니다. 거기에 더해서 BLSN 분들께 도움을 요청 드립니다.

"첫 직장을 구하는 변리사를 위한 팁"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댓글을 모아서 잡지에 넣겠습니다.
ex: 일단 큰 회사로 가라 / 바로 인하우스를 가라 / 인커밍을 가라 등등

신입변리사들을 위해, BLSN들의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27

댓글
indigo , 2021년 10월 14일, 
10
변리사님, 펀딩 계획 없으십니까 펀딩 의향 1000%입니다

글쓴이 , 2021년 10월 15일, 
1
@indigo 고민해보겠습니다ㅎㅎ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ㅈㅎㅇ , 2021년 10월 14일, 
3
펀딩하시면 참여하고 싶어요~~~!!!

ㅎㅈㅎㅇ , 2021년 10월 14일, 
4
일단 큰 회사로 가라 2

커피맛백설기 , 2021년 10월 15일, 
9
1. 먼저 연락이 오는 회사라면 대부분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법.
2. 특사들은 중소기업이므로 전년도 소득 안잡히는 1년차에 중소기업 취업자 관련 혜택들 미리 조사해서 받을 수 있는 건 다 받아두시길.

커피맛백설기 , 2021년 10월 15일, 
3
@커피맛백설기 3. 이미 잘 필터링 하고 계시겠지만, 소문은 참고하되 한번 더 체크해 보세요. 연봉/워라밸/분야/거래처/거래처 담당자/업무량/관리팀과의 관계/사수/팀장/대표 등 악평에 기여했던 스트레스 유발 요인은 같은 회사 안에서도 매우 다르고 각자 우선순위도 천차만별입니다.

모나미탕 , 2021년 10월 15일, 
7
오래된 사무소, 즉 성장이 멈춘 사무소인데도 채용공고가 자주 올라오는 회사는 이유가 있다... 사람이 들어가자마자 계속 나간다는 거다.

알로에 , 2021년 10월 15일, 
5
탈특사 붐에는 이유가 있다
치열하게 고민하고 기회가 나오면 바로 잡으시길

짜증날땐짜장면 , 2021년 10월 15일, 
10
이미 다 성장한 회사보다 규모가 작더라도 성장세가 뚜렷한 회사를 가는게 좋다

혀느 , 2021년 10월 15일, 
8
일 적게하고 돈 평균으로 주는 사무소를 가시오

또르르 , 2021년 10월 15일, 
10
처음에 작은회사 갔다고 하더라도 실망할필요 없습니다. 경력 1년만 쌓여도 골라갈수있음

이광재 , 2021년 10월 15일, 
10
합격을 축하합니다. 여러분은 새로운 시작점에 선 것입니다. 어떤 이유에서라도 변리사라는 직업을 선택했고, 여러분은 그것의 시작점을 이루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축하할 일이죠!
이제 변리사로써 취직을 알아보는 입장에 있을텐데, 생각보다 특허사무소에 취직하는 것 이외에 많은 업무 분야에 변리사가 퍼져 있습니다. 이제 뻗어 갈 수 있는 다양한 분야가 있으니, 더 많은 사람을 만나고, 더 넓은 시각에서 할일들을 생각해보세요.
이제 저희 동기들은 변리사 사무소에 일하거나 개업한 변리사도 있지만, 금융 투자사에 있는 변리사도 있고, 유럽이나 일본 변리사, 미국 변호사도있고, 인하우스에 오랫동안 일한 분도 있고, 아예 다른 사업을 하는 분도 있고 있습니다.
어려운 자격증을 딴다는 것은 다른 일반직에 비해서, 보다 내가 하고 싶은일, 내가 일하고자 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 때문이겠죠? 그리고, 이렇게 어려운 시험을 통과한 여러분은 원하는어떤 것이든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저는 믿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결정하고 추진한다면 어떤 목표나 일도 할 수 있을꺼라고 생각합니다.
눈앞에 연봉보다는 하고 싶은 일에 더 도전해보세요. 그리고 지금의 연봉 차이는 10년 뒤에 버는 액수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오히려 거꾸로가 되는 경우도 더 많은 것 같기도 하네요. 당장에 얼마만큼의 연봉 보다 꿈을 찾아 나아가는 일이 더 많은 노력을 쏟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 멀리 성장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기회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세상을 넓게 보고 멀리 도전하세요! 합격을 축하드립니다!

엠티 , 2021년 10월 16일, 
11
변리사를 기반으로, 큰 시야를 가질 것
변리사 전문성을 쌓되, 너무 집착하지 말것

il!li!il! , 2021년 10월 16일, 
6
나로 인해 회사가 빛나게 되는 전문가로 성장할 것.
어딜가도 원하는 대우를 받아낼만한 충분한 상품성을 갖출 것.

땡땡이 , 2021년 10월 17일, 
13
나로 인해 회사가 빛난다 같은 이야기에 신경 쓸 필요 전혀 없습니다. 회사는 나한테 몸값 이상의 노동력을 요구하는 곳일 뿐이고 회사가 나에게 해주는 것은 전혀 없습니다. 자신만 생각하세요

il!li!il! , 2021년 10월 18일, 
12
앗.. 너무 회사네임밸류만 보고 가는 경향이 아쉽고, 전문자격사인데 계속 남 밑에서 근로자로만 지내게되면 좀 아깝지 않나해서 적은 댓글입니다...
작은 사무소에 가도 본인만 잘하면 사무소를 키워서 대접 받을 수도 있고, 아예 새로 하나 차릴 수도 있고.. 그런 뉘앙스입니다..
파트너 꽉차서 거의 뭐 명함만 새겨주는 대형보다는,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개인 능력을 더 발휘할 수 있고 대우도 제대로 받을 수 있는 곳이 더 낫다고 생각해서 쓴 글인데 짧게 쳐내다보니 오해를 불러일으키네요...

최민혜 , 2021년 10월 18일, 
6
돈 많이 주는 데보단 잘 배울 수 있는 곳이 좋지만 돈 후려치는 데는 절대 가지 마세요..

우주 , 2021년 10월 18일, 
13
합격하고 바로 일 안해도 되요! 1년 정도 쉬면서 휴식을 취하는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합격직후로 돌아갈 수 있다면 바로 취직 안하고 1년간 아무것도 안하고 쉴것 같아요!!

알로에 , 2021년 10월 19일, 
3
@우주 공감 10개 드리고 싶어요......

데이오프 , 2021년 10월 18일, 
3
일을 잘 배우고, 다양한 실무 기회가 많은 사무소를 추천합니다. 저년차 때의 경험은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큰 자산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짜증날땐짜장면 , 2021년 10월 22일, 
1
@데이오프 질문 입니다만 다양한 실무 기회가 많다고 하심은, 대형 특사보다 중소형을 가라는 말씀이신가요?

데이오프 , 2021년 10월 28일, 
4
@짜증날땐짜장면 출원, 중간사건 말고도 변리사로서 할 수 있는 업무가 다양함에도 대부분 특사에서는 출원, 중간 사건만 경험하게되는 것 같습니다.
기왕이면 대형 특사에서 심판/소송/FTO 분석 등을 경험하는게 베스트이긴 합니다만, 아무래도 인원이 많다보니 그런 경험을 해볼 기회가 적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년차(1-5년차 정도)출원, 중간 사건 말고도 다양한 업무를 할 수 있는 곳이라면 대형 보다 나을수도 있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한번이라도 해보고 안해보고는 큰 차이니까요.
2-5년차는 상대적으로 이직도 쉬우니, 중소 특사에서 일 잘 배우고, 하고 싶은 분야 등에 따라 대형 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인 것 같습니다. 물론 쓰레기 중소 특사는 걸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티별 , 2021년 10월 20일, 
4
단기목표가 개업인지 아닌지 먼저 설정하고, 개업이 아니라면 바로 일하지 않고 교환학생 어학연수 등등 사회에서 쉽게 경험하지 못하는 것들을 다 해보고 취직하시고, 개업이라면 방향 설정을 위해 일을 잘 가르쳐줄 수 있고 시간의 여유가 있는 사수분이 있는 사무소를 추천드립니다.

아라모 , 2021년 10월 21일, 
8
결국 사람을 잘 만나야합니다. 어떻게 거르는지 위에 잘 나와있지만, 별일있겠어? 라고 생각하면서 아무곳이나 들어가면 변리사 때려치고 싶을겁니다. 멋모를때 까스라이팅 하는 사무소 많아요. 6개월 채우기전에 이직하면 오점아닌가?.. -> 오점아니에요 일이 너무 많은거아니야?..-> 퀄리티를 떨구세요 -아 왜 퀄리티갖고 머라고 하는거지? -> 일을 줄여달라고 하세요 일을 너무 적게 한다고 하네?-> 퀄리티를 다시 떨구세요 -내가 부족한가?..-> 사수가 모든 것을 간섭하는 마이크로매니저인 경우 도망치세요 멀리..

청렴한세상 , 2021년 10월 21일, 
4
일 배우려고 일 많은데 가면 오히려 일을 더 못배우고 루틴한 업무만 하게되는것 같아요.
일을 정말 잘 배우려면 좋은 사수를 만나는게 좋은거같아요.

제 경험상 자기가 갈 분야랑 사무소 정해놓고 3~6기수 위에 계신 변리사가 누가 있는지 확인한 후에 학원 강사중에서 현직 3~6년차 이상 사람들한테 물어보면 얘기 잘 해주더라고요. 강사님이 사수 변리사의 동기일 가능성이 크거든요. 특히 수강생이었다면 필터링 없이 모든걸 다 얘기해주더라고요.

greginesy , 2021년 10월 26일, 
5
나중에 귀찮을 일 없게 변리사 자격증 신청하는 법 정리해서 알려줬으면 좋겠어요. 무슨 현장연수 신청서니, 현장연수 확인서니, 현장연수 결과표니 하는 게 왜 이렇게 많은지... 챙겨야 할건 더럽게 많고 짜증만 나는...건 현재 제 상황입니다 허허허

다른 글 더보기
[어떤별] 윤정호, 워트인텔리전스 대표 2024년 8월 28일 관리자, 조회 805, 추천 15

IP 커리어를 고민하는 컨퍼런스가 열립니다. 2024년 8월 9일 BLSN, 조회 587, 추천 6

[어떤별] 김두규, 대한변리사회 제43대 회장 2024년 5월 3일 관리자, 조회 774, 추천 34

2월 19일 대한변리사회 회장 후보자 토론 내용 정리 2024년 2월 20일 관리자, 조회 753, 추천 31

[어떤별] 홍장원, 대한변리사회 제41대, 제42대 회장 2024년 2월 19일 관리자, 조회 441, 추천 32

[어떤별] 김대윤, AWA 변리사 2024년 1월 30일 관리자, 조회 1054, 추천 59

[어떤별] 최지명, 법무법인(유) 세종 변리사 2023년 6월 3일 관리자, 조회 1525, 추천 77

[어떤별] 정우성, 특허법인 임앤정 대표 2023년 5월 5일 관리자, 조회 1219, 추천 46

[어떤별] 남궁예진, OOO 지식재산팀 2023년 2월 27일 관리자, 조회 1735, 추천 44

[인터뷰] 42대 회장후보 기호 2번 엄정한 2022년 3월 21일 관리자, 조회 945, 추천 6

[인터뷰] 42대 회장후보 기호 1번 홍장원 2022년 3월 21일 관리자, 조회 702, 추천 16

[어떤별] 홍장원, 대한변리사회 제41대 회장 2022년 1월 23일 관리자, 조회 1135, 추천 58

[어떤별] 박진호, 특허법인 OO 파트너 2021년 10월 31일 관리자, 조회 1394, 추천 39

[어떤별] OOO, 주식회사 OOOO 특허팀 2021년 10월 30일 관리자, 조회 1189, 추천 20

[어떤별] 김인기, 특허법인 더웨이브 파트너 2021년 10월 24일 관리자, 조회 1055, 추천 41

[어떤별] 이대호, 파이 특허법률사무소 대표 2021년 10월 22일 관리자, 조회 943, 추천 35

[58기 웰컴키트] 첫 직장을 구하는 변리사를 위한 팁 2021년 10월 14일 관리자, 조회 884, 추천 27

[58기 웰컴키트] 학생 변리사를 위한 팁 2021년 10월 14일 관리자, 조회 537, 추천 11